• 1:1 문의
  • 회원가입
  • 로그인

[한국사] 광개토대왕릉비 올바른 해석



 

위 동영상 강사님들은 破의 주체 해석 오류설로 설명하시는데,

사실 이 해석은 잘못된 해석입니다. 아래 해설을 참조해 주세요.


광개토대왕 비문 (한문+해석)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來渡破百殘伽倻羅以爲臣民.
以六年丙申 王躬率軍討伐殘國.


백잔(百殘: 백제)과 신라(新羅)는 예로부터 속민(屬民: 같은 민족인 예속 국가)으로 고구려에 조공(朝貢)하였는데,

왜(倭)가 신묘년(辛卯年, 391년)에 바다(海)를 건너와 백잔(百殘: 백제)・가야(伽倻)라(羅)를 공격(破)하며 신민(臣民 : 신하국가 = 식민지국가)으로 여기니 (= 생각하니 = 삼으려 하니), (※ 임나일본부설 주장 빌미)
영락 6년 병신년(丙申年, 396年)에 왕이 몸소 군을 이끌고 잔국 (殘國: 일본이 유린 중인 백제 지역)을 토벌하였다. 

 


ps.

 

0.

고구려가 백제를 백잔 (= 백제 잔당)이라 부르는 이유는

백체 근초고왕이 고구려에 쳐들어와 광개토대왕의 할아버지인 고국원왕을 죽였기 때문임.

PS. 일부 사학자는 중국 대륙쪽에 있던 백제를 본(=first) 백제로 보고, 한반도 있는 백제를 잔(=second) 백제라고 얕잡아 봐서 그렇게 적은 거라 주장하기도.....

 

1.
빨간색 : 비석이 마모되어 안 보이는 글자인데, 정황상 저 글자가 아닐까 추측.

파란색 : 글자 부분은 제가 부드러운 해석을 위해 추가.

 

2. 

伽倻新羅 (가야신라) 대신 任那加羅 (임나가라: 임나국)라는 설도 있지만, 
광개토대왕 치적을 빛내고 백제 정벌 당위성을 생각하면 가야신라가 타당.
왜냐면, 앞서 백제와 신라가 고구려의 속민임을 전제로 깐 진술이기 때문.

 

3.

軍 (대군) 대신 바다 건너온 왜를 공격 위한 軍(수군)이라는 설도 있지만,
광개토대왕의 위엄과 백제를 친히 정벌하는 사정을 생각하면 대군이 더 타당.

또한, 수군만 보내 백제를 정벌할 순 없으므로 수군을 포함한 개념이 필요함.

이 때, 실제로 10만의 대군으로(수군 포함) 백제의 수도를 공략.

 

4.

2번째 구절이 임나일본부설 주장의 근거가 되는 구절임.

한일 사학자 간 임나일본부설은 허위임을 합의 봤으나,

일본 교과서에선 임나일본부설이 사실인 양 가르치는 중. 

 

참고: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compare.do?treeId=020102&levelId=hm_009_0040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0201&tabId=01&levelId=hm_009_0040 

 

 

광개토대왕 비문조작여부・주체해석・올바른해석 

[임나일본부설 등장하게 된 배경]

 

1.

광개토비문은 광개토대왕이 고구려의 속국이라 여기는 (백제・가야・신라)를 

왜 (=일본)가 침범하자 격퇴하는 내용으로 주로 서술되어 있음. (고구려 천하관)

그 결과, 광개토대왕의 치적을 빛나게 하기 위해 속국인 백제가 주체인 공격을

마치 고구려 세계관 밖의 외부세력인 일본이 주도해 고구려를 공격하는 양 서술.
광개토대왕을 동족상잔 벌인 왕이 아닌 왜로부터 민족을 지킨 수호신으로 그리며

적국인 백제 정벌 명분 위해, 고구려 속국들을 침범하는 왜를 상정한 것으로 뵘.

즉, 왜의 능력치가 부풀려져 기술 됨.

 

2.

게다가, 비문의 중요부분이 소실되어 다양한 한자 해석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버림.

 

3.

以爲 (..라 여기다. ...라 생각하다:의도・목적・진행)를 과거형・완료형 (...삼았다)로 잘못 해석.

4.
바로 뒷문장에서 광개토대왕이 군사를 보내 토벌한 사실은 무시. (즉, 보고싶은 부분만 봄.)

5.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위한 역사적 근거를 마련하고 싶은 일본의 욕망.

 

그 결과, 

일본은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게되고,
한국은 비문조작설, 주체해석오류 등 여러 반박설 제기.

https://m.cafe.daum.net/alhc/51q2/6228

https://youtu.be/NK5puca7GGY (한나 님 강의)

 

 


[비문 조작설 제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43회 등장한 비문 조작설 (https://tv.zum.com/play/773524)

원본: 入貢于 (입공우)

변조: 渡海破 (도해파)

 


[비문 조작설 파기] 


중국측 학자들이 공개한 원본 탁본 비교 결과, 일본측 비문 조작은 없는 걸로 판명.

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521 ★

https://tv.naver.com/v/3495195 (JTBC 차이나는 클라스 66회 : 조작설 비판)
https://kirang.tistory.com/802 (조작설 비판)

https://blog.naver.com/dgdragon/221308651097 (JTBC 차이나는 클라스 43회 VS 66회 리뷰)

https://blog.naver.com/0169543/140138941313 (탁본 비교짤) ★



[주체해석오류 해석에 대한 반박]

破(..공격하다. ..격파하다) 주체를 倭(왜)가 아닌 생략된 주어 (광개토대왕)이라 주장하는 설.

하지만, 이 해석은 앞뒤 문맥 상 맞지 않음.
왜냐면,
첫째, 백제・신라를 고구려 속민이라 했는데, 倭(왜)에게 공격 당했다는 이유만으로 신민으로
강등하는 건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와 전혀 맞지 않음.
둘째, 이미 격파했는데, 뒷 문장에서 또 다시 대군을 보내 토벌하는 상황과도 전혀 맞지 않음.

 


[자연스런 비문해석]

 

광개토대왕 비문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이므로,

광개토대왕의 치적을 빛나게 하는 방향으로 해석하는 게 타당.

백제는 광개토대왕의 할아버지(고국원왕)을 죽인 철천지원수 국가인 적국이나

광개토대왕의 민족적 포용력 부각과 백제 정벌 정당성 위해서 고구려 속국 상정 후,

고구려와 맞서던 백제를 주적으로 삼기보단 백제가 끌어들인 왜를 주적으로 삼아
토벌 대상을 백잔(百殘:백제) 대신 잔국(殘國: 백제 주둔 중인 왜)으로 표현하고.
속국이자 적국인 백잔(百殘:백제)의 아신왕을 관용으로 용서해주는 미덕을 기술.

 

PS. 

할아버지 (고국원왕) 복수, 영토 및 조공 확보....
이런 이유로 백제 정벌 했다고 하면 광개토대왕 업적의 품격에 안 맞음. ㅡㅡ;
또한, 

아무런 이유 제시 없이 그냥 백제를 정벌한 사실만 적어도 쪽팔림. ㅡㅡ;
왜냐면, 같은 민족을 죽이는 쪼잔한 왕이 되니까...
결국, 

백제가 끌어들인 왜를 정벌 구실 삼아 백제를 정벌하는 게 여러 모로 좋았던 것임. 

그런데, 왜의 능력치가 낮으면, 백제 정벌할 명분이 안 섬. 속국이 나서면 되니까..
그래서, 

왜의 능력치를 부풀려, 광개토대왕이 직접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묘사함. 

 

관련 영상: https://youtu.be/8JK8NfAMmgo (KBS 그날 광개토대왕 비문 해석)


 

 

광개토대왕 년도별 업적・사건

391년 (영락 1년, 17세 : 辛卯 신묘년) ★  비문: 일본이 바다를 건너와 (백제・가야・신라)공격. 

  • 광개토태왕 즉위
  • 신라에 사신 보내 우호 약속
  • 연호를 ‘영락(永樂) ’이라 함.

392년 (영락 2년, 18세 : 임진년)

  • 4만 군사로 백제 북쪽 변방 10성 점령
  • 북쪽: 거란 토벌.
  • 남쪽: 백제 관미성 점령.

393년 (영락 3년, 19세 : 계사년)

  • 백제에 변란이 일어나 진사왕이 살해되고 아신왕 즉위.
  • 아신왕이 외숙 진무에게 군사를 주어 관미성 침공케 함
  • 고구려가 백제의 침공을 막음.

394년 (영락 4년, 20세 : 갑오년)

  • 백제가 수곡성을 침공함, 고구려가 백제군을 물리침
  • 남쪽 변방에 7개의 성을 건설함.
  • 거련(巨連, 장수태왕) 탄생.

395년(영락 5년, 21세 : 乙未 을미년)

  • 백제가 변경을 침략하나, 패수에서 대승을 거둠
  • 비려국의 반란을 토벌하고 수많은 전리품을 얻음
  • 아신왕이 침공을 계획하였으나 폭설로 회군함.

396년 (영락 6년, 22세 : 丙申 병신년) ★비문: 광개토대왕이 직접 잔국(=백제 지역의 왜) 토벌.

  • 10만의 대군으로(수군 포함) 백제의 수도를 공략함.
  • 58개의 성을 획득하고 위례성을 함락함.
  • 아신왕이 항복함. 군신 관계를 맺어 조공을 약속함

397년 (영락 7년, 23세 : 정유년)


398년 (영락 8년, 24세 : 戊戌 무술년)

  • 고구려가 백제의 변방을 침략함.

399년 (영락 9년, 25세 : 己亥 기해년)비문: 백제가 왜와 화통 후 신라 공격하니, 신라왕이 도움 청함.

  • 남쪽: 왜가 신라를 대대적으로 공격하여 신라가 고구려에 원병을 청함.
  • 북쪽: 후연이 고구려의 신성과 남소성을 공격하여 빼앗음.

400년(영락 10년, 26세 : 庚子 경자년) ★비문: (보병・기병) 5만 보내 신라 지역 유린 중인 왜를 공격

  • 정미대원정. 장수를 보내 군사 5만으로 신라를 구원.
  • 신라의 내물 마립간이 구원에 대한 보답으로 조공 약속.

402년 (영락 12년, 28세)

  • 5만 군사로 후연을 공략함. 신성과 남소성을 회복하고 평주를 점령.

404년 (영락 14년, 30세 甲辰 갑신년)

  • 고구려가 후연의 유주를 공격함.
  • 백제·왜 연합군의 공격으로 큰 피해 입음. (※ 비문: 대방(帶方)을 공격한 왜(倭)를 왕이 직접 참살)

406년 (영락 16년, 32세)

  • 후연이 거란 침공 후(실패하여) 고구려를 공격하였으나 실패함.

407년(영락 17년, 33세 丁未 정미년)

  • 국내성을 중축함. 기병・보병 5만을 보내 대륙백제를 침공하여 무력화시킴

408년(영락 18년, 34세)

  • 후연이 멸망하고 북연과 남연으로 분열됨. 북연에는 고운이 왕으로 즉위.(고운은 고구려의 후예임)
  • 북연과 화친을 맺음. 

409년(영락 19년, 35세)

  • 태왕자 거련을 태자로 책봉.

410년 (영락 20년, 36세 庚戌 경술년)

  • 동부여를 점령.

413년 (영락 23년, 39세)

  • 광개토태왕 붕어, 장수태왕 즉위.

※ 붕어 [崩御] - [명사]임금이 세상을 떠남

 

참고: 지식인 답변

 

 

광개토대왕 드라마 보기

http://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11-0306&program_id=PS-2011002241-01-000&section_code=03&broadcast_complete_yn=Y&local_station_code=00

 

 

PS.

갑(4) : 신정변 (1884) , 오개혁 (1894)

을(5) : 미사변 (1895) , 사조약 (1905)

병(6) : 자호란 (1636) , 인양요 (1866)

정(7) : 묘호란 (1627) , 미의병 (1907)

무(8) : 오사화 (1498)

기(9) : 묘사화 (1519) , 축옥사 (1589)

경(0) : 신환국 (1680) , 술국치 (1910)

신(1) : 임사화 (1721) , 미양요 (1871)

임(2) : 진왜란 (1592) , 오군란 (1882)

계(3) : 사의난 (1173) , 유정난 (1453) , 축옥사 (1603)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야메떼닷컴 일본어 독학

분류 제목
맞춤법 가리키다 (O) , 가르키다 (X)
맞춤법 매캐하다 (O), 메케하다 (O), 매케하다 (X), 메캐하다 (X), …
맞춤법 뾰로통하다 (O) , 쀼루퉁하다 (O) 뽀로통하다 (O) , 뿌루퉁하다…
영상 탁구 결승 한일전 (신유빈 조대성 vs 이토미마 미즈타니준) - 201…
한자어 방향제 (芳香劑) - 좋은 향을 가지고 있는 약제 일괄.
영상 일본의 수출규제에 빡친 역사강사
정보 일본 (보이콧・불매운동) 배너 달기
잡담 북한 김정은은 수수께끼를 참 좋아하나봐요.
잡담 일본제품 대체재 호황을 누리는 국산제품 사업자에게...
영상 일본경제보복에 대한 대처자세와 한중일미북 동북아 정세 읽기
정보 노노재팬 - 일본제품 대체상품 소개사이트
영상 한국 너네가 불매운동 해봤자지...ㅎㅎㅎ
잡담 아베의 잘못된 만남 - 광필 님
영상 일본의 수출규제정책 의도 분석
순화어 노가다 (X) , 막노동 (O) 막일 (O)
6/34
목록
Since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