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문의
  • 회원가입
  • 로그인

[명사] 명사 복수형 (たち vs だち)



명사 복수형 접미사는 기본적으로 たち [tati] 뿐입니다.

(예) 

女性じょせい会員かいいんたち
[zyosei kaiin tati] 여성회원들 



연탁음 되는 だち [dati]는 友達ともだち 정도인데,
이 단어 경우엔 단복수 동일형입니다. 즉, 단수로도, 복수로도 사용됩니다.




관련 자료

우선 たち가 때때로 だち로 발음되는 것은 연탁음 현상 때문입니다.

 

가장 알기 쉬운 예로는 友達ともだち 가 있지요.

 

연탁음은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발음하기 쉽도록 탁음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몇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き + 寿司すし = 寿司ずし 

손으로 말음 (temaki) + 스시(susi) = 손으로 말아먹는 스시 (temakizusi)

 



睡眠すいみん + 不足ふそく = 睡眠すいみん不足ぶそく 

수면 (suimin) + 부족 (husoku) = 수면부족 (suiminbusoku)

 


あお + そら = 青空あおぞら 

파란색 (ao) + 하늘 (sora) = 파란하늘 (aozora)

 



질문하신 사람들이라고 할때는 ひとたち 라고 하시면 되고요,

 

일본어를 연구할 정도로 깊게 파고들지 않는 한에서는

  
だち로 발음되는 경우는 友達ともだち 밖에 없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황족 - 公達きんだち 와 같이 だち로 읽는 경우가 몇몇 있으나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윗 분들이 싸움이 나셨는데 우선 일본인들도 


ひとたち 
라는 단어 자주 사용합니다.

 


人々ひとびと 
라는 말도 물론 맞는 표현입니다만 

ひとたち 가 조금 더 자주 쓰입니다.

 

 

두번째;;

 

だち가 단수이고, 가 복수라고 답을 달아주신 분이 계신데, 이것은 옳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에는 단수와 복수 구분이 없습니다.

 

확실히 友人ゆうじん은 단수이고 

友人ゆうじんたち 
는 복수가 맞습니다만, 

가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고요.

 

 

여기에 대한 배경을 설명드리면

 

는 오래전 부터 쓰여져왔던 단어로 옛문헌에도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1948년에  (한자를 읽는 법을 정리한 표)에서 는 タツ로만 읽힌다고 명시되어 
라고 쓰는것은 틀린것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를 한자로 쓰지않고 히라가나로 だち라고 썼지요.

 

그런데 1981년에 제정된 상용한자표에서 다시 가 올바른 표기로 인정되었고,

 

현재 신문과 같은 정확한 표기가 요구되는 매체에서는 모두 를 쓰고있는 것으로 압니다.

 

다만 우리나라에도 있었던 자장면이냐 짜장면이냐 하는 것처럼

 

일반인이 사용하는 용어나, 소설, 예술적 학문등에서는 딱히 제약없이 쓰이고 있고요.

 

따라서 だち가 단수이고, 가 복수라는 말은 잘못된 것이며,

 

라고 쓰면 어색한 것과 같이, 현재는 단수, 복수의 구분없이 쓰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람들, 개들, 남자들과같이 복수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ひとたち, いぬたち, おとこたち 
와 같이 히라가나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물론  라고해도 뜻은 통합니다.


네이버지식인 happyboy0808 님


야메떼닷컴 일본어 독학

분류 제목
동사 일본어 동사의 활용 (연체형, 연용형, 미연형, 종지형, 가정형, 명령형…
동사 일본어 동사의 연결형 = て [te]형 1
기타 일본어 존경어 접두어 お(오) / ご(고) 사용법
기타 한국인이 틀리기 쉬운 일본어 TOP20 (2탄)
기타 한국인이 틀리기 쉬운 일본어 TOP20
조사 일본어 조사 (に vs で) 비교 대조
조사 일본어 (부조사, 종조사)
조사 일본어 (격조사, 접속조사)
기타 일본어 연탁현상
기타 자주 쓰는 일본어 축약형 베스트 5 + 그외 여러가지 일어축약표현
조동사 ない、よい 의 そうだ형, すぎる형
조동사 言いすぎます vs. 言い過ぎです (이이스기마스 vs 이이스기데스 구별)
접속조사 「しかし」VS「でも」차이점
연어 일본어 품사 「연어」란?
기타 연체형 (連体形) 의미와 종류
1/7
목록
Since 2012